- kubernetes cluster에서 web의 frontend service를 실행하는 pod의 경우 k8s cluster의 외부로 노출시켜 접근 가능하도록 구성해야 한다.
-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서비스의 상태.
- 서비스의 종류(TYPE) : ClusterIP
- 클러스터 내부 IP = CLUSTER-IP -> 할당되어있다.
- 클러스터 외부 IP = EXTERNAL-IP -> 할당되어있지 않다.
<서비스의 종류>
-
ClusterIP
-
cluster 내부용 서비스
-
-
NodePort
-
k8s 모든 노드(호스트)에 외부 접근용 포트를 할당.
-
노드의 포트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접근 가능.
-
노드의 포트로 접근 -> 서비스에 의해 파드로 redirection
-
파드를 실행하고 있지 않는 노드에도 포트가 할당되고 접근 가능하다.
-
-
LoadBalancer
-
NodePort의 확장판
-
클러스터 외부의 loadbalancer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접근 가능
-
외부 loadbalancer로 접근하면 서비스를 통해 파드로 redirection
-
클라우드 공급업체(AWS, GCP 등)에서 지원하는 기능.
-
-
External Name
-
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한 종류 아님.
-
외부의 특정 FQDN에 대한 CNAME 매핑을 제공
-
파드가 CNAME을 이용해 특정 FQDN과 통신하기 위함.
-
1. 외부 서비스용 replicaset 생성 및 확인
- 컨트롤러 및 파드 생성
2. NodePort 서비스 생성
# myapp-svc-nodeport.yaml
apiVersion: v1
kind: Service
metadata:
name: myapp-nodeport
spec:
type: NodePort
ports:
- port: 8080
targetPort: 80
nodePort: 31111
selector:
app: myapp-rs
- 서비스 타입 : NodePort
- 노드에 노출할 포트 : 31111
- 포트는 기본적으로 30000-32767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다.
- 노드 포트 서비스 생성
kubectl create -f myapp-svc-nodeport.yaml
3. NodePort 서비스 확인
- 노드의 31111 포트로 접근하면 서비스의 80 포트로 redirection 된다.
- 서비스 endpoint 확인
- 서비스의 80 포트는 파드의 8080 포트로 redirection 된다.
- 노드 IP 확인
- 외부에서 192.168.122.X:31111로 접근 -> 서비스 포트인 80번 포트로 redirection -> 내부 파드의 8080번 포트로 redirection
4. 서비스 삭제
kubectl delete svc myapp-nodeport
'Containers > Kubernet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클러스터 외부 서비스 - ExternalName (0) | 2020.08.23 |
---|---|
클러스터 외부 서비스 - LoadBalancer (0) | 2020.08.23 |
5.2. Service 탐색 (1) | 2020.08.10 |
5.1. Cluster 내부 서비스 (0) | 2020.08.03 |
4.4. DaemonSet (0) | 2020.07.2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