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Linux

iSCSI 블록 스토리지

by shinebee* 2020. 6. 3.

블록 스토리지

- DAS

   네트워크 X

   mount시 사용자가 직접 파일스템을 정한다.

- NAS

   네트워크에 연결된 스토리지 장치

   이미 만들어진 파일 시스템을 제공

- SAN

   네트워크를 통해 제공

   DAS 파일 시스템을 사용자가 정해서 사용해야 한다.

 

파일 기반 스토리지

 - NAS 또는 파일 서버에서 사용

 - 파일 시스템이 제공된다.

 - 계층적 구조를 보여준다.

 - /dir  -filea

 

블록 기반 스토리지

- DAS, SAN 등에서 사용하는 스토리지 연결 방식

- 블록 디바이스 제공.

 

iSCSI 용어

- target = server

    - potal

    - ACL

    - LUN : 초기자에게 제공되는 블록 스토리지에 부여되는 논리적인 번호 (블록에 대한 이름표)

    - TPG(위의 3가지를 합쳐놓은 것)

- initiator = client

    - discovery

    - Login

- IQN = server's name, client's name

 

* iSCSI 타겟 설정

- 장치 추가 후

- Server

sudo fdisk /dev/sdb
   primary -> 1 -> all
lsblk -f
sudo pvcreate /dev/sdb1
sudo vgcreate vg0 /dev/sdb1
sudo lvcreate -n lv0 -L 2G vg0
sudo lvscan

sudo yum install -y targetcli
sudo targetcli  //실행
   ls
   cd /backstores/block
   create test_block dev=/dev/vg0/lv0  
   //create block 장치이름 dev=block 장치로 사용할 디스크 혹은 파티션 이름
   cd /
   cd iscsi
   create iqn.2020-06.kr.co.test:server  
   //IQN 생성 -> TPG가 자동생성되고 portals 항목에 '0.0.0.0:3260'값이 기본으로 설정됨.
   cd iqn.2020-06.kr.co.test:server/tpg1/acls
   create iqn.2020-06.kr.co.cccr:client  
   //ACL 설정 -> 연결을 허용할 초기자의 IQN 지정(Client의 IQN)
   cd ..
   cd ..
   cd luns
   create /backstores/block/test_block
   //LUN 생성 -> backstore에서 생성했던 저장객체를 사용해 매핑
   cd /
   ls
   exit
   
sudo cat /etc/target/saveconfig.json

sudo firewall-cmd --add-port=3260/tcp --permanent
sudo firewall-cmd --reload
sudo systemctl status target
sudo systemctl start target

 

* iSCSI 초기자

- Client

root로 변경
yum install -y iscsi-initiator-utils
vi /etc/iscsi/initiatorname.iscsi  //IQN 설정 : acls 항목에서 지정한 IQN과 같은 이름
   InitiatorName=iqn.2020-06.kr.co.cccr:client

systemctl restart iscsid

iscsiadm -m discovery -t st -p 192.168.122.200  
//검색-> -m : 동작모드를 지정. -t : sendtarget의 약자로 iqn의 이름을 확인하기 위해 st로 지정. 
        -p : 대상의 portal을 지정.
iscsiadm -m node -T iqn.2020-06.kr.co.cccr:server -l
//로그인-> -m : 동작모드를 node로 지정하면 연결을 시도. -T : 검색한 타켁의 iqn을 정확하게 지정. -l : login
iscsiadm -m session -P 3
//세션확인-> -P : 등급. 0~3. 3이면 장치의 이름까지 확인가능. 

 

* 장치 사용

lsblk
mkdir -p /mnt/iscsim  //마운트 포인트 생성
mkfs -t xfs /dev/sdb //파일시스템 생성
mount /dev/sdb /mnt/iscsim 
lsblk -f
vi /etc/fstab
   UUID=5c557cb1-08e1-4450-810a-826d71751797 /mnt/iscsim   xfs     _netdev        0 0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inux로 wordpress 구축하기  (0) 2020.06.12
Apache Web Server  (0) 2020.06.04
SMB Storage  (0) 2020.06.03
NFS Storage (autofs)  (0) 2020.06.02
DNS Server  (0) 2020.06.01

댓글